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

로봇 ETF , 어떤 게 좋을까?

by acidcole 2025. 7. 4.

미래 산업에 관심이 많다면 '로봇 관련 ETF'는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로봇 산업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제조 자동화, 물류 혁신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런 트렌드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금융 상품이 바로

로봇 ETF입니다.

하지만 막상 투자하려 하면 어떤 ETF가 있고, 무엇이 다른지 헷갈리기 쉽습니다.

ROBO, BOTZ, IRBO 등 다양한 해외 로봇 ETF는 물론, 최근 국내에도

로봇 관련 ETF들이 출시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각각의 구성 종목이나 전략,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분석은 필수적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가장 주목받는 글로벌 로봇 ETF 5종과 함께 주요 국내

로봇 ETF들을 중립적으로 비교하고, 각 상품의 특징, 장단점,

투자 시 유의할 점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로봇 관련 ETF란?

로봇 관련 ETF는 로보틱스, 자동화 기술, 인공지능 기술에 관여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ETF입니다.

주요 구성 종목에는 반도체 제조사, 산업 로봇 제조사, 자율주행 관련 기업,

센서 기술 보유 업체 등이 포함됩니다.

로봇 ETF에 투자하면 한 종목에 집중하는 리스크 없이, 산업 전체의 성장에

분산 투자할 수 있습니다.

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

 

▣ 2025년 주목받는 글로벌 로봇 ETF 5종 비교

ETF 운용사 주요 편입 종목 특징 총보수(비용)
ROBO ROBO Global NVIDIA, Intuitive Surgical 등 가장 오래된 로봇 ETF, 글로벌 분산 0.95%
BOTZ Global X ABB, Keyence, Fanuc 등 대형 로봇기업 중심, 일본 비중 높음 0.68%
IRBO iShares Baidu, Meta, ServiceNow 등 AI + IT 혼합형 ETF, 분산폭 넓음 0.47%
RBOT First Trust Rockwell, Teradyne 등 제조 자동화 기술 중심 0.65%
FTAI Franklin Templeton AI 기반 로보틱스 기업 중심 신규 ETF, 기술 혁신 비중 높음 0.50%

 

→ 투자 전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2. 글로벌 ETF별 특징 요약

■  ROBO – 안정적이고 폭넓은 글로벌 분산

• 다양한 산업과 국가에 분산된 구성

• 기술 성숙도 높은 기업 다수 포함

• 리스크가 낮고 장기 투자에 적합

■ BOTZ – 일본 및 제조 자동화에 강점

• 일본 제조기업 비중이 높음

• 대형 산업용 로봇 제조사 위주

• 단기 변동성은 있지만 성장성 높음

■ IRBO – AI와 IT 접목된 미래지향형 ETF

• 로봇보다는 AI, 데이터 기업에 초점

• 기술주에 강하게 반응하는 구조

• NASDAQ 기반의 변동성 보유

 

■ RBOT – 자동화 중심의 제조 투자

• 로봇공정, 산업기계 자동화 비중 높음

• 산업경기와 상관관계 있음

• 미국 내 제조 트렌드에 민감

■ FTAI – 최신 로보틱스 + AI 기반 테마

• 비교적 새로운 ETF

• 신기술, 스타트업 기반 기업 구성

• 고위험 고수익 구조

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로봇 ETF TOP5, 어떤 게 좋을까?

3. 국내 로봇 ETF, 어떤 상품들이 있을까?

최근 국내 로봇 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내 자산운용사들도 다양한 로봇 관련 ETF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ETF명 운용사 주요 편입 종목 (예시) 특징
KODEX K-로봇액티브 삼성자산운용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네이버 등 국내 로봇 산업 핵심 기업 투자 (액티브)
RISE AI&로봇 KB자산운용 국내 AI 및 로봇 밸류체인 전반 기업 AI와 로봇 기술 융합 기업 투자
KODEX 휴머노이드 로봇 삼성자산운용 테슬라, 엔비디아, 아마존 등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 집중 투자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미래에셋자산운용 유비테크, 이노밴스 등 (중국)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투자

 

■ 국내 로봇 ETF 투자 고려사항:

• 국내 로봇 산업 성장성:

한국은 제조용 로봇 판매 시장 세계 4위, 로봇 밀도 세계 1위 등 높은 로봇 산업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활발합니다.

• 주요 구성 종목:

국내 대표 로봇 제조사(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등)와 AI, IT 기술 기업들이

주로 편입됩니다.

• 변동성 및 유동성:

신규 출시된 상품의 경우 해외 대형 ETF에 비해 순자산 규모나 거래량이 적을 수 있으므로

유동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투자 전 고려해야 할 3가지

1) ETF의 구성 종목을 반드시 확인하자:

같은 로봇 ETF라도 편입 기업의 구성이 크게 다르며, 투자하는 지역(글로벌 vs 국내)과

세부 테마(산업 자동화, AI, 휴머노이드 등)에 따라 성격이 달라집니다.

2) 총보수(비용)를 체크하자:

운용 보수 등 수수료 차이가 장기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산업 흐름에 따른 민감도를 이해하자:

AI 붐, 경기 사이클, 반도체 시장 등 거시 경제 및 기술 트렌드에 따라 ETF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ETF는 개별 종목보다 리스크는 적지만, 성격이 다른 ETF끼리 비교 없이 투자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2025년 현재, 로봇 관련 ETF는 기술 성장에 베팅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 성향에 따라 '안정형'(ROBO), '성장형'(BOTZ), '혁신형'(FTAI) 등 글로벌 ETF를

선택하거나, 국내 로봇 산업의 성장에 집중하고 싶다면 'KODEX K-로봇액티브',

'RISE AI&로봇' 등 국내 ETF를 고려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에 맞춰 최적의 로봇 ETF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